제1기 인민폐 환율의 추세 평론: 상승 보폭이 날로 나타나고 있다
2008년 1분기 인민폐는 달러화 환율의 상승 보폭이 뚜렷하게 빨라지고 유로화, 엔화에 대해 하락세를 보이며, 환율변동은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영향이 점점 나타나고 있다.
동시에 인민폐 환율이 탄성해지고 있다.
1분기 인민폐가 달러 환율의 중간 가격에 대해 평균 파폭이 약 83개 지점으로 2007년 일일 파폭 62개 기점을 계속 확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민폐는 달러화의 급상승을 가속화시키는 데 주로 달러 평가 하락으로 인해 2007년 9월 미국 차대위기가 폭발한 이래 달러화가 계속 하락했다.
인민폐 환율이 참조하는 한 바구니 중 달러는 가장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달러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인민폐의 평가절상 압력을 증가시켰다.
1분기 인민폐 환율이 달러화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유로와 엔화는 각각 3.74% 와 8.75% 의 평가절하였다.
2005년 7월 21일 우리 나라는 인민폐 환율 형성 메커니즘의 개혁을 시작하여 인민폐는 더 이상 단일 달러를 주시하지 않고 한 바구니를 참조하여 조정하였다.
달러를 제외하고는 유럽연합과 일본도 우리나라의 주요 무역 파트너이기 때문에 유로와 엔화가 한 바구니에 있는 지위도 만만치 않다.
국가정보센터 경제전망부 부주임은 인민폐 환율 상승 폭을 고려해 한 바구니의 화폐를 참고해야 한다고 축보했다.
인민폐 환율의 변동은 우리 경제에 점점 깊은 영향을 끼친다.
인민폐가 달러에 대한 평가절상은 주로 달러로 계산하는 수출기업의 이윤을 억제할 것이다.
특히 방직, 복장 등 수출 의존에 대한 영향이 뚜렷하다.
최근 광동, 산동 등 외자 투자 열점 지역에서는 노동밀집형 수출업체 외천이 도산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인민폐의 평가절상은 일부 수출기업에 압력을 주는 것은 물론 객관적 사실일 뿐, 전체적으로 국내 산업집단과 조립력이 비교적 강하기 때문에 연해는 중서부 산업의 사다리로 이동하는 공간이 비교적 크다.
그리고 위안화의 평가절상은 대외 무역 성장 방식을 촉진시키는 데 급속히 전환하고 제품 구조를 조정하는 데 있어서 뚜렷한 이점이 있다.
세관총서는 4월 11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1분기 우리나라가 무역흑자 414억 1800억 달러를 달성하며 수입이 7.2퍼센트 증가하면서 무역흑자는 작년 동기보다 50억 달러를 크게 줄였다.
업계 인사들은 우리나라 대외무역수출입 정책조정, 부차위기 영향 등을 제외하고는 달러 절감 증가도 무역흑자 증가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유럽연합과 일본은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목적지와 수입원산지이기 때문에 인민폐는 유로와 엔화에 대한 추세도 주목할 만하다.
전체적으로 위안화의 평가절상 속도도 빠르지 않으며 우리나라 수출업체의 인수능력을 고려해 더욱 대규모 투기를 방지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국제 국내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배경 아래 안정적인 환율은 중국 경제발전에 유리하다.
cn.jx
- 관련 읽기
- | 2008310353
- | 2008310346
- | 2008310340
- | 2008310334
- | 2008310328
- | 2008310321
- | 2008310313
- | 200831037
- | 200831030
- | 2008310252